LG전자 주가 전망 – 생활가전 강자에서 전장·AI 기업으로

LG전자는 오랫동안 ‘가전 명가’로 불렸지만, 이제는 “AI·전장·로봇”이라는 새로운 성장 키워드를 품은 종합 테크 기업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와 함께 대한민국 제조업의 양대 산맥으로 불리는 LG전자는 TV·냉장고·세탁기 등 프리미엄 가전뿐 아니라, 전기차용 부품(전장사업)과 스마트홈·로봇 솔루션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죠.

이번 글에서는

  • LG전자의 핵심 사업 구조
  • 최근 실적과 재무 흐름
  • AI·전장 중심의 미래 전략
  • 그리고 주가 전망 및 투자 포인트
    를 중심으로 하나씩 짚어보겠습니다.

LG전자 기업 개요

항목내용
회사명LG전자 (LG Electronics Inc.)
설립연도1958년 (금성사로 출발)
본사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
상장시장코스피 (066570)
시가총액약 22조 원 (2025년 10월 기준)
주요 사업생활가전, 홈엔터테인먼트, 전장(VS), 로봇·AI
대표이사조주완
LG전자

주요 사업 구조

LG전자의 사업은 크게 4개 부문으로 나뉩니다.

사업부문주요 제품/서비스매출 비중(2025E)
H&A (Home Appliance)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청소기35%
HE (Home Entertainment)OLED TV, 모니터, 사운드바20%
VS (Vehicle Solutions)전장부품, 전기차용 모듈25%
BS/로봇·AI 등 기타로봇, B2B 디스플레이, AI 솔루션20%

📌 핵심 포인트:
과거엔 ‘가전’이 전부였지만, 이제는 전장(VS)사업이 전체 매출의 1/4 이상을 차지하며 미래 성장의 중심축으로 떠올랐습니다.


실적 요약 (2022~2025 전망)

구분2022년2023년2024년2025년 전망
매출액83조 원84조 원88조 원91조 원
영업이익3.6조 원3.5조 원3.9조 원4.2조 원
순이익2.2조 원2.0조 원2.5조 원2.8조 원
영업이익률4.3%4.1%4.4%4.6%
배당금(보통주 기준)1,200원1,200원1,500원1,800원 예상

💬 요약: 매출은 꾸준한 성장세, 영업이익률도 점차 회복 중이며, 전장과 AI 가전이 실적 개선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다만, 3분기 영업이익은 8% 감소한 6,889억원을 기록하였습니다.


사업별 분석

H&A — 프리미엄 가전의 독보적 경쟁력

  • LG전자는 글로벌 가전 시장에서 프리미엄 제품군 1위권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오브제 컬렉션, UP가전(업그레이드 가능한 가전) 등 차별화 전략이 성공.
  • 에너지 고효율 기술, AI 세탁·냉장 알고리즘을 통한 ‘스마트홈’ 라인업 강화.

💡 AI 가전 생태계 LG ThinQ 플랫폼을 중심으로 냉장고·세탁기·TV·로봇청소기 등 모든 제품이 하나로 연결되는 방향으로 발전 중입니다.

HE — OLED의 리더

  • OLED TV 시장 점유율 전 세계 60% 이상.
  • 삼성전자·소니 등 경쟁사보다 기술 완성도와 화질 평가 우위.
  • 대형 OLED 수요 확대, 게이밍 모니터 시장 진입으로 수익성 다각화 중.

🎬 LG전자의 OLED 패널은 ‘자발광 기술’을 사용해 백라이트가 없는 얇은 구조, 높은 명암비, 더 정확한 색을 표현합니다.

VS (Vehicle Solutions) — 미래 먹거리의 중심

LG전자가 최근 몇 년간 가장 집중하고 있는 사업이 바로 전장부품(VS) 부문입니다.

  • 전기차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모터·배터리 히터, ADAS 센서 등 공급
  • 주요 고객: GM, 현대차, 메르세데스, 폭스바겐
  • 2025년 기준 누적 수주 잔고 130조 원 돌파 예상

📈 VS부문은 2024년부터 흑자 전환했고, 2025년에는 LG전자 전체 영업이익의 20%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보입니다.

⚡ 특히, LG이노텍·LG에너지솔루션과의 ‘전장 트라이앵글’ 구조로 전기차 부품 밸류체인 완성을 이루는 점이 강점이에요.

로봇·AI·B2B 사업

  • 자율주행 로봇, 물류 로봇, AI 스피커 등 서비스 로봇 분야 확장 중
  • LG 클로이(CLOi) 로봇 시리즈: 병원·호텔·식당 등에 공급
  • B2B(기업 간) 시장에서는 OLED 사이니지, 공항·호텔용 솔루션 강화

💡 LG전자는 “AI를 통한 생활 혁신”을 핵심 키워드로 2030년까지 로봇과 AI를 결합한 ‘스마트 라이프’ 생태계 완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AI 가전과 전장 — LG전자의 새로운 성장엔진

분야주요 내용성장성
AI 가전AI 알고리즘 기반의 냉장·세탁·공기청정 최적화생활가전 고급화로 수익성 ↑
전장(VS)전기차 부품·모듈, ADAS 센서수주 잔고 130조 원 돌파
로봇·B2B자율주행·서비스로봇, 산업용 솔루션신성장 축으로 육성
스마트홈 생태계LG ThinQ, 스마트폰 연동생태계 락인(Lock-in) 효과

💬 핵심 메시지:
LG전자는 ‘가전 기업’에서 ‘AI 기반 하드웨어 플랫폼 기업’으로 변신 중입니다.


주가 흐름 및 전망

구분수치 (2025.10 기준)비고
주가105,000원1년간 +18% 상승
PER(주가수익비율)약 8.5배저평가 구간
배당수익률약 1.8%안정적 배당 유지
목표주가(평균)125,000~135,000원증권가 평균

📈 요약:
LG전자는 현재 실적 대비 저평가 구간에 있으며, 2025년에는 전장사업의 본격적인 이익 반영으로
120,000~130,000원대 주가 회복 가능성이 높습니다.

LG전자 주가

투자 포인트 체크리스트

  • 전장사업 매출 비중 25% 돌파
  • OLED TV 점유율 유지 및 수익성 개선
  • AI 가전 매출 확대
  • 서비스 로봇 상용화 일정
  • 환율(달러 강세)에 따른 수출 실적 영향

리스크 요인

항목설명
가전 수요 둔화경기 침체 시 가전 교체 수요 감소
원자재 가격 상승부품·물류 비용 부담 증가
전장사업 리스크완성차 업황 악화 시 수주 지연
AI·로봇 시장 경쟁삼성·현대·중국 업체들과 경쟁 심화
환율 변동원화 강세 시 수출 수익성 감소

전문가 및 증권사 전망

기관목표주가평가
NH투자증권130,000원전장 매출 본격화 긍정적
KB증권125,000원실적 안정성 강화
신한투자증권132,000원AI 가전 확대 기대
미래에셋증권128,000원OLED·VS 동반 성장

평균 목표가: 약 128,000원, 현재가(105,000원) 대비 상승 여력 약 +22%로 평가됩니다.


FAQ

Q1. LG전자는 여전히 가전 중심 회사인가요?
A1. 아닙니다. 현재는 전장·AI·B2B 매출 비중이 40% 이상으로 확대되었습니다.

Q2. 전장사업은 어떤 회사와 협력하나요?
A2. GM, 현대차, 스텔란티스, 폭스바겐 등 글로벌 완성차와 협력 중입니다.

Q3. 배당은 꾸준히 주나요?
A3. 네, 2020년 이후 매년 배당을 유지하고 있으며, 점진적으로 확대 중입니다.

Q4. 로봇사업은 언제 수익화될까요?
A4. 병원·호텔용 로봇은 이미 상용화 단계이며, 2026년 이후 본격 매출 기대.

Q5. 지금 투자하기 괜찮을까요?
A5. 저평가 구간에 있으며, 전장사업 성과가 본격 반영되면 중장기 관점에서 긍정적입니다.


마무리

LG전자는 단순한 ‘가전 기업’이 아닙니다. 이제는 AI와 전장 기술로 움직이는 종합 테크 기업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OLED, 전장, 로봇, AI 가전이라는 4개의 성장축이 안정적으로 돌아가고 있으며, 2025년 이후에는 수익 구조가 완전히 재편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단기 변동성은 있겠지만, 중장기적 관점에서는 꾸준한 배당과 실적 성장, 그리고 전장 중심의 고평가 회복이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