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알바 · 직장인 시급 계산법, 야근수당, 초과근무수당 – 계산기 엑셀

“이번 달 알바비 제대로 받았을까?”
“야근했는데 수당은 따로 붙는 걸까?”

시급제 직장인이나 아르바이트생들은 근무한 시간만큼 임금을 받는 구조라서, 시급 × 근무시간 계산은 기본입니다. 하지만 야간 근무, 주휴수당, 연장근무(초과근무) 등 다양한 법정 수당을 빼놓고 계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시급 계산 공식, 야근수당 계산법, 초과근무수당(연장근무수당)까지 차근차근 풀어보겠습니다. 아르바이트생은 물론, 파트타이머, 계약직, 프리랜서까지 참고할 수 있는 내용이에요.


시급 계산의 기본

시급제 근로자의 급여 기본 계산법은 매우 단순합니다.

시급 × 근무시간 = 기본급여

예를 들어 시급이 10,000원이고 하루 6시간, 한 달 20일을 근무한다면:

  • 하루 임금 = 10,000원 × 6시간 = 60,000원
  • 월 임금 = 60,000원 × 20일 = 1,200,000원

👉 여기까지는 단순 계산이지만, 실제로는 법정수당이 추가될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이란?

시급제 근로자가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면, 주휴일(유급휴일) 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즉, 일을 하지 않아도 하루치 임금을 더 받는 제도예요.

  • 조건: 1주 15시간 이상 근무
  • 수당: 주간 근무시간 ÷ 주 5일 × 1일 임금

예시) 시급 10,000원, 하루 6시간, 주 5일 근무 (주 30시간) → 주휴수당은 하루 6시간분 = 60,000원

👉 많은 알바생들이 “주휴수당은 따로 챙겨야 한다”는 사실을 잘 모르고 있습니다.

시급 계산법

야근수당 (야간근로수당)

야근수당은 밤 10시~다음 날 새벽 6시 사이에 일한 시간에 대해 지급되는 수당입니다.
이 시간대 근무는 건강 부담이 크기 때문에, 법으로 통상임금의 50%를 추가 지급하도록 규정되어 있어요.

  • 계산법: 시급 × 1.5배 × 야근시간

예시) 시급 10,000원, 밤 10시~12시까지 2시간 근무 → 10,000원 × 1.5 × 2 = 30,000원

👉 기본급여 20,000원 + 야근수당 10,000원 = 총 30,000원이 지급되어야 합니다.


초과근무수당 (연장근로수당)

법정 근로시간은 1일 8시간, 주 40시간입니다.
이를 초과해 일하면 연장근로수당을 추가로 받아야 합니다.

  • 계산법: 시급 × 1.5배 × 연장근무시간

예시) 시급 10,000원, 하루 10시간 근무 → 초과 2시간 × 15,000원 = 30,000원
👉 하루 임금 = 8시간 기본 80,000원 + 초과근무 30,000원 = 110,000원


휴일근무수당

휴일(법정 공휴일, 주휴일 등)에 일하면 휴일근무수당도 있습니다.
이 경우 역시 통상임금의 50% 가산 원칙이 적용돼요.

예시) 일요일(주휴일)에 8시간 근무, 시급 10,000원 → 10,000원 × 1.5 × 8 = 120,000원


시급 계산 종합 예시

아래는 다양한 상황을 적용한 월 급여 예시입니다.

구분조건계산 결과
기본급여시급 10,000원 × 하루 8시간 × 월 20일1,600,000원
주휴수당주 40시간 기준, 하루 8시간분 × 4주320,000원
야근수당하루 2시간 야근 × 월 10회300,000원
연장근무수당주 2회, 하루 2시간 추가240,000원
합계2,460,000원

👉 단순히 시급×시간만 계산했을 때는 160만 원이지만, 법정 수당을 합치면 246만 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체크리스트: 내가 받는 수당 제대로 계산됐나?

  • ✅ 주 15시간 이상 → 주휴수당 지급?
  • ✅ 밤 10시 이후 근무 → 야근수당 포함?
  • ✅ 하루 8시간, 주 40시간 초과 근무 → 연장근무수당 포함?
  • ✅ 휴일 근무 → 휴일근무수당 반영?

👉 급여 명세서에 수당 항목이 빠져 있다면 꼭 확인하세요.

수당 계산기

FAQ (자주 묻는 질문)

Q1. 시급제 근로자도 연장근무수당 받을 수 있나요?
A1. 네. 시급제든 월급제든 근로기준법상 연장근무를 하면 1.5배 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Q2. 야근수당은 언제부터 적용되나요?
A2. 밤 10시 이후 근무부터 적용됩니다. 단, 아르바이트 계약서에도 야간 근무 조건이 적혀 있어야 분쟁이 줄어듭니다.

Q3. 주휴수당은 꼭 지급해야 하나요?
A3. 네,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개근하면 지급 대상입니다. 받지 못했다면 노동청에 진정을 넣을 수 있습니다.

Q4. 휴일근무수당과 연장근무수당이 겹치면 어떻게 되나요?
A4. 두 가지 수당이 중복되어 적용됩니다. 예컨대 휴일에 10시간 근무했다면 ‘휴일근무 8시간 + 연장근무 2시간’ 계산 방식으로 더 받습니다.

Q5. 실제로 수당을 못 받으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5. 고용노동부 ‘임금체불 진정’, 노동 상담 센터, 청년 노동상담창구 등을 통해 권리 구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마무리

시급제 직장인과 아르바이트생들이 가장 많이 놓치는 부분이 바로 법정수당입니다.
단순히 시급×시간만 계산하는 게 아니라, 주휴수당·야근수당·연장근무수당·휴일근무수당까지 꼼꼼히 체크해야 제대로 된 임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일한 만큼 정당하게 받는 건 권리입니다.
급여 명세서를 꼼꼼히 확인하고, 빠진 부분이 있다면 바로잡으세요.

👉 여러분의 땀의 가치를 놓치지 않도록, 이 글을 참고해 월급 계산을 다시 점검해 보시길 바랍니다.

[시급계산기]

  • C열(시급), D~G열(근무·야근·연장·휴일 시간)만 입력 → H~L열 자동 계산
  • 맨 아래 ‘합계’ 행은 SUM/AVERAGE 수식으로 월 집계

[주휴수당 자동]

  • 주간 근무시간과 근무일수를 입력하면 주휴시간/주휴수당 자동 계산
  • 15시간 미만이면 자동으로 “미지급”

[공제 계산(세전→세후)]

  • ‘총지급액(세전)’은 시급계산기 합계와 자동 연동
  • 국민연금/건강보험/장기요양/고용보험/간이세 비율을 직접 수정할 수 있도록 구성
  • 총 공제액·실수령액 자동 계산

[시간대별 시급표]

  • 야간/연장/휴일/사용자정의 가산배수를 세팅하고, 시간 입력 시 해당 수당 합계가 계산

[대시보드]

  • 총 근무시간·수당·세전 합계·총 공제· 실수령액(세후)까지 한눈에 확인 (모든 값 자동 연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