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월급

개인 연금저축으로 노후 준비하기 feat. 연금보험 차이

by 평범한라디오 2025. 2. 5.
반응형

연금저축은 의무가 아닌 개인이 노후를 위해 가입하는 연금입니다. 국가에서는 개인연금 저축을 권장하기 위해 세금 공제 혜택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가입하고 있습니다. 아래에서 개인연금저축으로 노후 준비하기 feat. 연금보험 차이에 대해 전해 드립니다.

개인연금저축으로 노후 준비하기 feat. 연금보험 차이

 

연금저축과 연금보험 차이

연금저축 연금보험 차이

  • 연금저축은 은행, 증권, 보험사 등 다양한 곳에서 다양한 상품을 판매하기에 선택의 폭이 넓습니다. 하지만 연금보험은 생명보험사에서만 가입 가능합니다.
  • 연금저축은 연금을 납입할 때 세금을 공제해 주지만 연금을 수령하는 55세 이후에는 세금을 내야 합니다. 다만, 세율이 낮습니다. 이에 반해 연금보험은 납입 시 세금을 환급해 주지 않지만 연금을 받을 때 내지 않는 비과세 상품입니다.
  • 연금저축은 기존 상품을 해지하고 다른 은행, 증권, 보험사에 이전 가능하고 가입 기간이 계속 유지됩니다.

 

연금저축은 연말정산 때 세금 공제 가능

연금저축 납입한도

 

1. 한도는 600만 원입니다.

600만 원까지 세금 공제가 가능하고 퇴직연금 IRP까지 합치면 최대 900만 원까지 세금이 공제됩니다.

 

2. 소득에 따라 공제율이 다릅니다.

  • 총급여가 5,500만 원 이하 : 세액 공제율 15%
  • 총급여가 5,500만 원 초과 : 세액 공제율 12%

예를 들어, 연봉 5,000만 원인 A가 600만 원을 연금저축에 납입한다면 600만 원이 세금공제가 되어 600만 원의 15%인 90만 원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3. 1년에 1,800만 원까지 저축할 수 있습니다.

저축한 돈으로 펀드, ETF와 상품을 가입하여 투자할 수도 있습니다. 여기서 나온 수익은 세금을 내지 않고 연금 수령 때 낮은 이율로 낼 수 있습니다.

매달 30만 원을 개인연금에 납입하면 연간 360만 원이 되고 IRP 납입한도는 540만 원이 됩니다. 만약 60만 원을 개인연금에 납입하면 연간 720만 원이 되어 납입한도 600만 원을 제외한 120만 원은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개인연금으로 매월 50만 원을 납입하고 연말에 IRP에 300만 원을 채워 넣으면 좋습니다.

연금저축 활용법

1. 연금저축은 말 그대로 연금입니다.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고 투자 수익에 대해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된다는 점 때문에 많은 돈을 입금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하지만 연금이기에 노후를 위한 상품입니다. 목돈을 넣어 놓으면 당장 필요할 때 쓸 수가 없을뿐더러, 중도 인출을 하게 되면 지금까지 돌려받은 세금을 도로 뱉어 내야 합니다. 미리 인출한 금액에 대한 기타 소득세는 16.5%로 만약 5,500만 원 이상의 연봉인 사람이 돌려받는 돈은 원금의 12%이기 때문에 4.5%의 더 많은 세금을 내야 합니다.

 

2. 돌려받은 세금은 다시 저축합니다.

연말정산 때 돌려받는 세금은 원금의 12~15%입니다. 나중에 연금을 받을 때 세금을 내더라도 3.3~5.5%이기에 수익률은 8.7% 이상의 고수익이 됩니다. 보통 사람들은 돌려받은 세금이 보너스로 생각을 하고 사용하는데 이를 다시 연금저축 계좌에 넣으면 높은 수익률이 보장된 성공한 투자라 할 수 있습니다.

 

이상 개인연금저축으로 노후 준비하기 feat. 연금보험 차이에 대해 전해 드렸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