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뉴스62

3나노 엑시노스로 다시 시작하는 삼성 파운드리 2022년 6월 삼성전자는 TSMC를 제치고 세계에서 처음으로 3나노 공정을 파운드리 양산 라인에 적용하였습니다. 실제 TSMC 보다 6개월이나 빨랐고 데이터 흐름도 기존 보다 넓힌 GAA(게이트올어라운드) 구조도 도입하였습니다. 그러나 삼성전자와 TSMC의 실적은 전혀 달랐습니다. TSMC가 작년 3분기부터 아이폰 15프로의 3나노 기반의 AP(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을 전량 생산하면서 3나노 매출이 발생하였고, 실제 4분기 매출의 15%가 3나노에서 발생하였습니다. 반면 삼성전자는 세계 최초로 3나노 GAA를 생산했지만 고객사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TSMC 파운드리세계 파운드리 시장은 TSMC가 독보적인 존재감을 보이고 있고 삼성전자, 글로벌파운드리 등의 업체들이 그 뒤를 따르고.. 2024. 5. 23.
AI 반도체 또 다른 게임 체인저 유리 기판 구리, 변압기, 전선에 이어 AI 반도체의 또 다른 게임 체인저는 유리 기판(Glass Subtrate)입니다. AI 반도체, 가속기 및 데이터센터에 상당한 전력이 필요하여 전기 관련 원자재 및 장치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였습니다. 하지만 전력 사용 급증에 따른 AI 반도체 자체의 전력 소모를 줄이는 연구도 지속되고 있으며 그중 하나가 반도체 기판, 즉 glass 기판에 대한 연구입니다. 현재 해당 분야 선두 주자는 SKC, 인텔이며 삼성전기와 LG이노텍도 관련 사업을 시작하였습니다. 그렇다면 왜 기존 플라스틱에서 glass로 바뀌고 있는지, 그리고 어떤 업체들이 어떤 계획을 가지고 준비하고 있는지에 대해 전해 드립니다. 왜 유리 기판(Glass Subtrate)인가?일반적으로 전자기기 안에는 전기 신호가.. 2024. 5. 18.
전기차 배터리 시장 회복은 언제? 테슬라를 필두로 한 전기차가 점점 대중화되는 것처럼 보이다가 잠시 멈춰 섰습니다. 이는 대중화되기 전 일시적 수요 둔화기인 캐즘(Chasm)에 진입한 것으로, 이에 따라 전기차 배터리 시장은 급격하게 위축되었습니다. 이러한 위축으로 삼성 SDI, LG에너지솔루션, SK온 등 배터리를 미래 먹거리로 여겨온 Battery Valuechain 상 기업들은 큰 어려움에 처하게 되었습니다.실제 지난해 하반기부터 전기차 구매 수요가 감소되면서 전기차 업체뿐 아니라 완성차 업체들의 전기차 생산 조절과 재조 조정이 시작되었습니다. 완성차 업체는 전기차 수요 둔화에 하이브리드 자동차, 가솔린 등 내연 기관 자동차와 같은 대안이 있지만 배터리 밸류체인에 속한 기업들은 전기차 시장이 무너지면 함께 무너질 수밖에 없습니다. .. 2024. 5. 15.
라인야후 네이버에 지분 조정 요청 불과 며칠 전에 일본 정부 네이버 라인 매각 압박이라는 글을 작성했는데 이제는 라인야후에서도 네이버 지분 조정 요청을 하고 있습니다. 말이 지분 조정이지 NAVER의 지분을 소프트뱅크에 팔아서 라인야후와의 관계를 정리하라는 의도로 보입니다. 단순히 기업 간 지분 정리 정도라면 큰 문제가 없으나, 라인의 일본 및 동남아에서의 위상, NAVER의 지금까지의 노력, 한국과 일본의 외교 이슈 등이 정말 복잡하게 얽혀 있습니다. 현재 어디까지 진행되고 있나?5월 8일 결산설명회에서 라인야후는 네이버로부터 기술 독립을 선언했습니다. 즉, 기업 내부 시스템, 네트워크 운용과 서비스, 사업 영역에서도 NAVER와의 위탁 관계를 종료하겠다는 것으로 사실상 네이버와의 관계를 끊겠다는 것과 같습니다. 또한 모회사 자본 변경.. 2024. 5. 11.
인텔 AI 반도체 추락과 부활 사이 컴퓨터의 핵심인 중앙처리장치(CPU)를 개발한 인텔은 개인용 PC의 보급에 따라 1980~90년대까지 호황기를 누렸습니다. 2000년 초반만 해도 뉴욕 증시에서 시가 총액 10위 안에 들었습니다. 초등학교 때 컴퓨터를 구입하면 당연히 Intel에서 만든 펜티엄 또는 셀러론 CPU였고, 그전에 사용했던 LG 그램 노트북도 인텔에서 만든 6세대 스카이 레이크였습니다. 그만큼 CPU는 당연히 Intel이었습니다.하지만 3년 전 인텔 CPU 발열, 전력 제한 등 신뢰 이슈와 AMD 라이젠 CPU의 성능 향상으로 노트북을 교체하면서 AMD 라이젠 시리즈로 넘어왔습니다. AMD가 훨씬 좋다는 것은 아닙니다. 본인의 사용 스타일에 따라 Intel이든 AMD든 맞춰 사용하면 됩니다. 다만, 여기서 하고 싶은 말은 CP.. 2024. 5. 10.
아이패드 프로 에어 18개월 만의 신상 미국 현지시간 7일 신형 아이패드 프로와 에어를 공개하며 영상에서 팀 쿡 애플 CEO는 역대 가장 강력한 아이패드 라인업이라고 강조를 하였습니다. 오전에 열린 렛 루즈(Let Loose : 마음 가는 대로) 이벤트에서 새로운 아이패드와 M3이후 7개월 만에 업그레이드된 M4, 업그레이든 된 패드용 파이널 컷 프로와 로직 프로, 새로운 애플 펜슬 프로와 매직 키보드를 공개하였습니다.이번 행사에서는 특히 애플의 AI 전략을 볼 수 있을지에 큰 관심이 쏟아졌으며 AI에 특화된 M4칩을 통해 엿볼 수 있었습니다. 구체적인 계획은 다음 달에 열릴 연례개발자회의에서 발표할 예정입니다. M4칩을 탑재한 아이패드 프로사이즈와 무게2022년 10월 이후 새롭게 내놓은 아이패드 프로는 11인치와 13인치 두 가지 크기로 .. 2024. 5. 9.
AI 반도체의 구성, D램에서 데이터센터까지 생성형 AI를 구현하기 위해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메타와 같은 빅테크 기업들은 고성능 컴퓨터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이 촉발한 이러한 경쟁에서 엔비디아가 치고 나가고 있는 가운데 비메모리 반도체의 TSMC, 삼성전자, 메모리 반도체의 SK하이닉스, 삼성전자가 인공지능 반도체 경쟁에 뛰어들었습니다. 이러한 경쟁 속에서 HBM, AI가속기, D램, GPU, 낸드플래시(이하 낸드), AI컴퓨터, 데이터센터 등 인공지능 반도체 관련 수많은 용어들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이번 뉴스에서는 이 많은 용어들이 도대체 무엇이고 어떤 관계가 있는지 흩어진 정보의 조각들을 짜 맞춰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기 쉽게 전해 드립니다. D램과 HBM 그리고 낸드D램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미국의 마이크론이 시장을 주도하고 .. 2024. 5. 7.
일본 정부 네이버 라인 매각 압박 네이버 라인이 일본 정부로부터 매각 압박을 받고 있습니다. 엄밀히 말하면 행정지도로 실제 법적 강제는 없으나, 일본 정부의 발표이고 통신 산업이 국가의 기간산업임을 감안해 보면 반 강제적인 조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네이버 라인은 다소 생소하지만 일본을 포함한 몇 개 국가에서는 압도적 점유율을 가진 메신저입니다. 카카오톡과 같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저 역시 국내에서는 NAVER 라인을 사용해 본 적이 없고 필리핀에 갔을 때 일본인 등과 연락을 해야 할 때 라인을 사용하였습니다. 그렇다면 왜 이 메신저 하나에 국가에서 매각하라는 행정지도까지 나왔는지 자세하게 전해 드립니다. 미국의 틱톡 금지법과 강제매각다소 뜬금없는 전개일 수도 있으나 이번 사태와 맥을 같이하기에 함께 전해 드립니다.일부 미.. 2024. 5. 6.
미래의 엔비디아 AI 스타트업 그로크(Groq) 2013년 8월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짓고 있는 삼성전자 반도체 파운드리 공장의 첫 고객사가 정해졌습니다. 구글 엔지니어 출신들이 만든 AI 반도체 팹리스 스타트업인 그로크(Groq)입니다. 현재 1세대 언어처리장치(LPU)를 14 나노 미세공정을 활용하여 만들었으며 향후 출시 예정인 2세대는 삼성전자의 4 나노 공정을 밝히기로 하였습니다. 일반적으로 패스트 팔로워는 ‘제2의’ 수식어를 붙이지만 이번에 소개드릴 그로크는 ‘제2의’보다는 ‘미래의’라는 수식어를 붙였습니다. 그만큼 앞으로 엔비디아만큼 성장할 가능성이 높은 기업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로크(Groq)의 탄생1993년 엔비디아는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자사 그래픽처리장치에 NV(New Version)라는 이름을 붙이는 것을 시작으로.. 2024. 5. 3.
빅테크 기업들의 치열한 AI 경쟁 2편 애플 아마존 알파벳 테슬라 다양한 자료를 분석해 본 결과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아마존은 글로벌 빅테크 기업의 AI 경쟁에서 앞서 가고 있으나, 이에 반해 애플, 테슬라, 알파벳은 AI 경쟁에서 다소 밀려나고 있습니다. 하지만 죄송한 말씀이지만 100% 정확한 정보라고 말하기 어렵습니다. 제가 이 글을 작성하는 시점인, 4월 27일 기준으로 자료를 모아 내용을 정리하는데 같은 기업이라도 어제 기사 내용과 오늘 기사 내용이 다릅니다. 뿐만 아니라 신문, 잡지, 뉴스별로도 내용이 다릅니다. 즉, 지금 보고 있는 이 글은 참고하시고 가장 최근의 신문기사를 찾아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다른 한편으로는 그만큼 인공지능은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고 있다고 할 수도 있습니다. 전기차에서 AI로 전환을 꿈꾸는 애플애플에 장기 투자를 하.. 2024. 5.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