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에너지솔루션이 미국 정부 보조금 없이도 6개 분기 만에 흑자 전환에 성공했습니다. 북미 생산 비중 확대와 비용 절감이 주요한 실적 개선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특히 전기차 수요 둔화로 발생한 수요 공백을 에너지저장장치(ESS) 사업으로 메꾸겠다는 전략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아래에서 LG에너지솔루션 드디어 캐즘 극복하다를 전해 드립니다.
LG에너지솔루션 실적
LG에너지솔루션은 25일, 2025년 2분기 연결 기준 매출 5조 5654억 원, 영업이익 4,922억 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습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9.7%, 전 분기 대비 11.2% 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52.0%, 전 분기 대비 31.4% 증가했습니다. 순이익은 906억 원으로 흑자 전환했습니다.
특히 이번 실적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른 4,908억 원 규모의 세액공제를 제외하고도 실질 영업이익 14억 원을 기록해, 2023년 4분기 이후 처음으로 정부 보조금 없이도 흑자를 달성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 최고재무책임자는 북미 지역에서 전기차(EV)에 대한 제품 판매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미시간 홀랜드에 위치한 신규 ESS 공장의 양산이 시작되며 출하량이 증가했지만, 정책 불확실성과 판매가격 하락으로 매출은 줄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서 손익 측면에서는 북미 고수익 제품 출하 확대, 전사 차원의 원가 절감 노력과 비용 효율화가 실적 개선을 이끌었습니다고 전했습니다.
이번 분기의 주요 성과로는 중국 체리차와의 46시리즈 원통형 배터리 공급 계약, 미시간 홀랜드 공장에서의 ESS용 리튬인산철(LFP) 롱셀 양산 개시, 도요타와의 미국 배터리 리사이클 합작법인 설립 등이 있었습니다. 특히 체리차와의 계약은 중국 국영 주문자위탁생산(OEM) 업체가 자국 배터리 대신 LG에너지솔루션의 원통형 배터리를 선택한 첫 사례로, 기술력과 고객 포트폴리오 확장 측면에서 큰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 전망
LG에너지솔루션은 하반기에도 실적 개선을 이어가기 위해 세 가지 실행 과제를 실행할 예정입니다.
먼저 운영 측면에서는 중저가형 제품과 ESS 양산 확대를 통해 공장 가동률을 높이고, 고정비 절감과 원가 경쟁력 강화에 집중하겠다는 계획입니다.
사업 측면에서는 북미 현지 ESS 수요 확대에 맞춰 현지 생산을 늘리고, 유럽의 중저가 전기차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폴란드 공장에서 미드니켈(Mid-Ni)과 LFP 제품 양산을 본격화할 예정입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 17GWh, 내년 말까지 30GWh 이상의 미국 내 ESS 전용 생산능력을 확보하겠다는 목표도 세웠습니다.
기술 개발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새로운 배터리 소재인 리튬리치망간(LMR)을 통해 LFP 대비 에너지 밀도를 30% 이상 향상시킬 예정이며, 이 제품은 2028년부터 주요 고객사의 차세대 전기차에 탑재될 예정입니다. 또, 2028년까지 10분 내 고속충전 기술을 도입하고, 건식전극 양산 체계도 올해 안에 오창 플랜트에서 구축할 방침입니다.
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는 IRA 보조금 조기 종료로 하반기 전기차 수요에 일부 영향이 있을 수 있지만, 전반적인 EV 판매 흐름은 견조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소형 IT 전지 수요와 원통형 EV 고객사의 신차 출시가 예정되어 있으며, 북미 전력망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3분기부터 미시간 현지 생산 ESS 출하가 본격화될 예정이라고 언급하였습니다. 이어 올해 계획한 17GWh 규모의 ESS 생산능력을 안정적으로 확대하는 동시에 기존 전기차용 생산라인을 ESS용으로 전환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 외 GM 등 전략 고객사와의 LFP·LMR 등 중저가 배터리 공동 개발도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현재 오하이오 합작공장에서 니켈코발트망간(NCM) 파우치 제품을 안정적으로 생산 중이며, 미국 테네시 합작공장에서는 수요 변화에 맞춰 LFP와 LMR 등 신규 제품의 생산능력을 유연하게 조정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상 LG에너지솔루션 드디어 캐즘 극복하다에 대해 전해 드렸습니다.
감사합니다.
'뉴스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품 플랫폼 발란 기업회생절차가 시작되었습니다 (0) | 2025.04.09 |
---|---|
홈플러스 왜 회생절차가 진행되나요? (0) | 2025.03.20 |
중국 한한령 해제할까? (0) | 2025.03.17 |
삼성전자 반도체 전문가로 이사회 30% 채운다 (0) | 2025.02.25 |
배당 재투자 해외주식 TR ETF 6월 종료 (0) | 2025.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