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월급

재테크의 기본 예적금 단리와 복리

by 평범한라디오 2024. 9. 5.
반응형

재테크를 할 때 가장 기본은 단리와 복리를 이해하는 것입니다. 주식, 채권, 부동산 등 관련 내용을 잘 알고 있더라도 이를  이해하지 못한다면 투자의 기본을 모르는 것과 같습니다. 단리는 원금에 이자, 복리는 원금에 이자, 여기에서 다시 이자가 붙는 방식이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재테크의 기본 예적금 단리와 복리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 드립니다.

재테크의 기본 예적금 단리와 복리

 

단리와 복리 기본

1980~90년에는 예적금 금리가 10~20%인 적이 있었습니다. 그렇기에 굳이 주식이나 부동산 투자를 하지 않아도 예적금만으로도 재테크를 할 수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1억을 예금하면 한 달에만 약 80만 원의 이자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80~90년대의 급격한 경제 성장 이후에 경제 성장의 속도가 둔화되면서 이런 고금리는 사라졌습니다. 이제는 많아야 3% 내외이기에 주식이나 부동산 등의 재테크가 필수인 시대가 되었습니다.

단리는 원금에 매달 같은 액수의 이자가 붙는 형식입니다. 이에 반해 복리는 첫 달에 원금에 이자가 붙으면 두 번째 달에는 첫 달 원금과 이자가 합쳐진 금액에 이자가 붙는 형식입니다. 따라서 세 번째 달, 네 번째 달이 계속 지나면서 이자가 늘어나게 됩니다.

재테크의 기본 예적금 단리와 복리

 

다만, 복리가 더 많은 이자를 받는다고 하더라도 실제 금액이 크지 않거나, 기간이 짧다면 이자 차이는 몇 만 원밖에 차이가 나지 않기에 무조건 복리를 고집할 필요는 없습니다.(위 이미지 참고)

  • 1,000만 원을 3년 동안 연이율 3% 일 예금하면 34,275원 밖에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 단리 10,761,400원(원금 10,000,000원, 세전 이자 900,000원, 세금(15.4%) 138,600원)
    - 복리 10,795,675원(원금 10,000,000원, 세전 이자 940,514원, 세금(15.4%) 144,839원)

 

급여하나 월복리 적금

현재 시중에서 가장 인기 있는 적금 중 하나는 하나은행의 급여하나 월복리 적금입니다. 12개월 기준 연 3.35%의 금리를 적용하기 때문으로 급여 연동, 비대면가입 등의 조건을 만족시키면 추가금리가 적용되어 연 최대 5.65%의 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급여하나 월복리 적금

  • 기간 및 기본금리 : 1년(3.35%), 2년(3.45%), 3년(3.55%)
  • 금액 : 1만 원 ~ 300만 원 이하(청년응원 특별금리 적용 시 150만 원 이하)
  • 가입방법 : 영업점, 스마트폰뱅킹, 인터넷뱅킹
  • 적립방법 : 자유적립식
  • 우대조건 : 급여 연동(0.9%), 온라인 가입(0.1%), 청년응원 특별금리(1.3%, 35세 이하만 가능) 외 금리우대쿠폰, 하나카드 결제 등

 

재테크를 위한 복리의 마법

비록 초기에는 단리와 복리의 차이는 크지가 않습니다. 마법이 펼쳐지는 건 일정 시간이 필요합니다. 재테크로 단기가 많은 돈을 벌기 위해서는 예적금이 아닌 주식, 부동산을 해야 하고 효과를 누려 노후에 많은 돈을 가지고 싶다면 조금이라도 어렸을 때 복리 상품에 투자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1,000만 원을 3% 예금 상품에 가입할 경우,
    - 원금 1,000만원이 2,000만 원이 되기까지 24년이 걸리고, 다시 1,000만 원을 늘리기까지 12년, 또 한 번 1,000만 원을 늘리기까지 12년이 걸립니다. 그 이후부터 시간이 많이 줄어듭니다. 네 번째 1,000만 원을 늘리기까지 8년, 다섯 번째 1,000만 원을 늘리기까지 6년, 그 이후부터 5년, 3년, 1년, 6개월, 3개월, 1.5개월로 줄어듭니다.
    - 초기에는 오래 걸리지만 일정 기간이 지난 후에는 기간이 엄청나게 줄어듭니다. 물론 24년, 12년, 12년의 시간이 짧지는 않습니다. 만약 이것이 1억이라면...

 

이상 재테크의 기본 예적금 단리와 복리에 대해 전해드렸습니다. 만약 1,000만 원부터 모으고 싶다면 여기에서 조금이라도 쉽게 모으는 방법에 대해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