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부동산29

돈 버는 재건축 아파트 5가지 조건 재건축 아파트 등에 투자하고 싶다면 입지, 용적률, 대단지, 종상향 등 여러 가지 조건들을 고려해야 합니다. 모든 조건에 딱 맞는 지역은 이미 많은 프리미엄이 붙어 비싸긴 하지만 장기적으로 봤을 때 상승할 것이라는 기대뿐 아니라 하락의 불안감을 상쇄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돈 버는 재건축 아파트 5가지 조건에 대해 전해 드립니다. 돈 버는 재건축 아파트 5가지 조건1. 입지가 좋아야 합니다.결국에는 입지입니다. 아파트는 어차피 매년 3% 정도 감가가 되지만 지가는 시간이 지날수록 상승합니다. 재건축 조합원 입장에서 사업 지연, 공사비 상승 등의 추가분담금을 줄이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따라서 분양가를 높게 책정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입지가 좋은, 사람들의 선호가 높은 지역에 투자하는 것이.. 2025. 1. 10.
조심해야 할 부동산 잔금 지급 날짜 6월 1일 feat. 부동산 보유세 일반적으로 부동산 계약시 개인의 현재 상황과 조건 등을 고려해서 날짜를 정합니다. 기존 집을 비워야 하는 시기, 잔금을 받을 수 있는 날, 이사하는 날 등 다양한 것들을 고려해야 하는데, 만약 6월 1일을 잔금 날짜(소유권이전등기)로 정했다면 다른 날로 고려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가장 큰 이유는 보유세를 납부 기준일이 6월 1일이기 때문입니다. 아래에서 부동산 매매 계약시 중요한 날짜 6월 1일 feat. 부동산 보유세에 대해 전해 드리겠습니다. 매수인은 잔금을 6월 1일 이후, 매도인은 6월 1일 이전부동산 보유세(재산세, 종합부동산세)의 납부자는 등기에서 6월 1일에 소유한 사람이 됩니다. 즉, 6월 1일에 등기사항증명서에 본인 이름이 있다면 단 하루(5월 31일)만 보유하고 있어도 보유세 1년분을 .. 2025. 1. 9.
부동산 계약금에 대한 오해 3가지 "부동산 계약금은 무조건 10%를 지급해야 한다." 부동산 계약 시 이런 말을 들어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개인적으로 처음 자취를 할 때 월세방을 계약하면서 계약금을 10% 내야 한다는 말을 처음 들었습니다. 그 이후에는 당연히 10% 인지 알고 살았지만 실제 법에서는 이러한 규정이 없습니다. 아래에서 부동산 계약금에 대한 오해 3가지에 대해 전해 드리겠습니다. 계약금은 10%를 내야 합니다 (X)계약금은 법으로 규정되어 있지 않으며 관행상 10%를 지급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계약 당사자 간 합의만 되면 10% 미만이어도 상관이 없습니다. 또한 10% 이상 계약금을 지급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집 값이 오를 것이라고 예상이 될 때 매도하는 사람의 마음이 바뀔 것을 예상하여 15~20%를 계약금으로 내는 .. 2025. 1. 8.
금리가 저렴한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결혼하면서 전세자금 대출을 받은 적이 있습니다. 2%대의 저금리로 7,000만 원을 대출하였고 집을 사서 이사 가기 전까지 돈을 모을 수 있도록 많은 도움을 받은 대출이 바로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입니다.(집 사는데 더 많은 대출을 했지만...) 이 대출 역시 주택도시기금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은행 대출보다 금리가 낮기에 받을 수 있는 최대한도로 받는 것이 좋습니다. 아래에서 금리가 저렴한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에 대해 전해 드립니다.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대상부부합산 연소득 5,000만 원 이하, 순자산가액 3.45억 이하 무주택 세대주임대차 계약을 체결하고 임차 보증금의 5% 이상을 납부대출 접수일 기준 성년인 세대주: 세대별 주민등록표 상에 배우자, 직계존속 또는 직계비속으로 이루어진 세대의 세대주를 말하.. 2024. 12. 2.
금리가 저렴한 청년 전월세 보증금 대출 feat. 버팀목 전세자금 전세, 월세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일정 금액의 보증금이 있어야 합니다. 보증금이 있다면 문제가 없지만 보증금이 없다면 최대한 이자가 낮은 전월세 보증금 대출을 알아보아야 합니다. 주택도시기금에서 저금리의 전세자금을 빌릴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금리가 저렴한 청년 대상(19~34세) 전월세 보증금 대출 상품에 대해 전해 드립니다. 중소기업 취업 청년 전월세 보증금 대출중소, 중견기업 재직자, 중소기업진흥공단, 신용보증기금 및 기술보증기금의 청년 창업 지원을 받고 있다면 '중소기업 취업 청년 전월세 보증금 대출(중소기업 청년 전세대출)'을 추천드립니다.대상 : 부부합산 연소득 5,000만 원 이하(외벌이 3,500만 원 이하)이며 순자산가액 3.45억 이하 무주택 세대주나이 : 만 19세 이상 ~ 만 34세 .. 2024. 11. 29.
집을 살 때, 소유하고 있을 때, 팔 때 내는 세금 집을 살 때는 취득세, 소유하고 있을 때는 재산세, 종합부동산세 그리고 팔 때는 양도소득세가 있습니다. 취득세와 양도소득세는 그 행위가 일어난 시점에 내는 세금이지만 재산세, 종합부동산세는 매년 납부를 해야 하기에 비싼 집(공시지가가 높은 집)이면 부담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아래에서 집을 살 때 소유하고 있을 때 팔 때 내는 세금에 대해 전해 드리겠습니다. 집을 살 때 내는 세금 취득세취득세는 말 그대로 집 등의 부동산을 취득했을 때 내는 세금으로, 토지, 건물, 자동차 등을 매매 및 구매했을 때에도 취득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기존 주인으로부터 집을 사거나, 아파트를 분양받았을 때, 또는 부모님으로부터 증여 또는 상속을 받았을 때에도 취득세를 내야 합니다. 2011년 전에는 취득세, 등록세를 따로 납부.. 2024. 11. 27.
부동산 등기부등본 보는 법 집을 계약할 때 등기부등본을 꼼꼼히 보고 계약한 적은 없었던 것 같습니다. 공인중개사가 서류를 주면서 여기 여기 맞지요? 하고 대부분 넘어갔던 갔는데, 1~2만 원짜리 사는 게 아닌데 너무 관심을 두지 않았습니다. 다행히 지금까지 좋은 공인중개사를 만나서 사기당하지 않은 것에 감사합니다. 아래에서 등기부등본을 보는 법에 대해 전해 드립니다. 등기부등본인터넷등기소에서 누구나 발급받을 수 있는 서류로 집주인이 누구인지, 압류/저당 잡힐 위험은 없는지, 집주인이 집을 담보로 얼마의 돈을 대출 받았는지 등의 내용을 상세하게 적은 서류입니다.표제부, 갑구, 을구 3개 파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표제부는 부동산의 정보, 주소, 건물번호가 기술되어 있습니다. 갑구는 누가 이 집을 소유하고 있는지가 표시되어 있으며, 가.. 2024. 11. 22.
부동산 임대차 계약서 작성할 때 반드시 체크해야 할 3가지 자취를 처음 시작하거나, 집을 전세로 마련했을 때 가장 걱정이 되는 것은 혹시 사기당하지 않을까 하는 불안함입니다. 보통 부동산에 방문하여 집을 몇 개 본 후 집 계약을 진행하는데 개인 입장에서는 전적으로 중개인을 믿을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임대차 계약서를 작성할 때 반드시 체크해야 하는 사항들이 있습니다. 아래에서 부동산 계약할 때 반드시 체크해야 할 3가지에 대해 전해 드립니다. 1. 계약하는 집이 이 집이 맞지? 건축물 대장 확인하기임대차 계약서의 제일 처음에는 [임차주택의 표시] 항목이 있습니다.해당 항목에는 소재지(집주소), 건물 구조/용도, 면적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해당 내용이 건축물대장과 맞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건축물대장은 이 건물이 언제, 어디에 지어졌는지, 소.. 2024. 11. 21.
판상형 아파트 타워형 아파트, 당신의 선택은? 아파트를 분양받을 때 잘 들어보지 못한 용어가 있습니다. 그중에 하나가 판상형인지, 타워형인지의 아파트의 형태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쉽게 생각하면 판상형은 우리가 가장 많이 보는 형태로 성냥갑이 펼쳐진 형태이며 타워형은 탑처럼 위로 쌓아 올린 형태입니다. 예전에는 대부분 판상형 위주였으나 도시 조경, 공간 부족 등 다양한 이유로 타워형도 많이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어는 것이 좋다 나쁘다 보다는 취향의 차이로 차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전해 드립니다. 판상형 아파트판상은 널찍한 직사각형을 말합니다. 아파트 배치도를 보면, 특히 옛날 아파트의 배치도를 보면 여러 동들이 동일한 방향, 주로 남향을 전면으로 하여 나란히 '-'자 형태로 펼쳐진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 아파트의 양옆이 나란히 붙어 아파트.. 2024. 10. 25.
청약 입주 공고문 용어 알아보기 feat. 당해 공급면적 베이 제곱미터 청약을 하기 전에 입주 공고문을 꼼꼼히 봐야 합니다. 입주 공고문에는 위치, 면적, 청약자격, 입주금(금액) 등이 자세히 적혀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실제 입주공고문을 보면 낯선 용어들이 나오는데 청약에서는 자주 사용하는 용어이니 반드시 알고 있는 것이 좋습니다. 개인적으로 청약 공고문의 낯선 용어보다는 너무 자잘한 글씨로 빼곡히 적어둔 청약 공고문의 형태가 읽기 더 어렵게 만드는 건 아닐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아래에서 청약 입주 공고문 용어 알아보기 feat. 당해 공급면적 베이에 대해 전해 드립니다. 당해당해는 아파트를 짓는 지역의 거주자를 의미하는 용어입니다. 즉, 성남에서 아파트를 짓고 당해지역 우선이라고 한다면 성남지역에 살고 있는(주민등록이 성남시로 되어 있는) 거주자 우선으로 선정한다는 의.. 2024. 10. 23.
반응형